본문 바로가기
정신건강과 심리학/정신 건강 자료실

자해에 관한 심리학, 자해를 하는 이유 및 자살과의 관련성

by mini's peach 2023. 7. 6.
반응형

 자해는 청소년들이 자해 사진을 공유하면서 사회적 주목을 받게 되었다. 자해는 고의로 신체를 손상시키는 것으로, 다양한 방법과 목적으로 행해지며, 심각한 자해는 결고 자살과 무관하지 않다. 자해를 하는 이유와 자살과의 관련성, 자해를 중단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자해 인식 포스터

자해 방법과 자해를 하는 이유 - 고통스러운 정서경험에 대한 셀프 대처방식 

1) 다양한 자해의 방법

자해는 신체를 고의로 벽 등에 부딪히거나 때리는 방법, 머리카락을 뽑거나 살갗을 뜯기, 날카로운 물체로 찌르기, 칼로 베기, 화상을 입히는 등 신체에 비교적 가벼운 손상을 입히는 방법에서 치명적인 손상을 초래할 수도 있는 다양한 방법과 수준으로 행해지며, 빈도도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2) 자해의 기능 및 자해를 하는 이유 

자해의 기능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보면, 개인의 정서를 조절하기 위한 개인적 기능과 자해로 다른 사람, 관계, 책임, 의무에 영향을 주고자 하는 사회적 기능이 있다.

 

많은 연구들에서 정서를 조절하기 위한 개인적 기능이 대부분의 자해에서 훨씬 우세하며, 심각하고 반복되는 자해일수록 정서를 조절하기 위한 목적으로 행해진다. 즉, 자해는 다양한 고통스러운 기분, 정서에 대한 대처 방법으로  행해지며(불쾌한 감정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공허감을 멈추게할 자극을 얻기 위해, 죄책감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살을 방지하기 위해 등등) 정서조절에 필요한 타인이나 관계, 대처기제가 부족할 때 셀프로 할 수 있는, 즉각적이고 일시적인 효과를 갖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자해와 자살과의 관련성        

자해는 자살의도가 있는가에 따라 구분할 수 있으며, 자살 의도가 없는 경우 비자살적 자해(NSSI: non suicidal self injury)로 따로 분류하여 연구되어 왔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많은 자해는 죽기 위한 의도이기보다는 고통스러운 기분과 정서로부터 벗어나거나 힘든 마음을 달래기 위해 행해지는 경우가 많으며, 나아가 자살을 방지하기 위해 자해를 하기도 한다. 하지만 잦은 빈도로 반복되는 심각한 자해의 경우, 결코 자살과 무관하지 않으며 신체 손상이 죽음으로 이어지거나 자살시도를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자해를 중단한 사람들의 특징 

 보통 연구에서는 마지막 자해를 한 지 1년이 지난 경우, 자해를 중단한 집단으로 구분하는데, 이들은 자해가 문제와 자신에게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라는 생각을 분명히 갖고 있다. 자해는 기분 해소 등의 효과가 있지만 이는 매우 일시적이며, 낮은 자존감, 패배감, 고립감, 죄책감, 자살 위험성 증가 등 부정적인 영향이 크다. 중단한 사람들은 이를 분명하게 하며, 다른 건강한 방식을 찾았다. 자해를 유지하면서 궁극적으로 좋아지기는 힘들기 때문에 자해부터 멈출 필요가 있다. 

 

주변인을 통해 자해를 접하거나 함께 하는 경우 자해의 심각성이 높으며, 자해가 괜찮은 방식이라는 생각을 할 수 있는데 이러한 환경과 생각으로부터 벗어날 필요가 있다. 자해가 결코 해결책이 되지 못하며, 좋지 않은 방식이라는 생각, 자해 사진을 공유하며 위로와 마음을 나누는 행동을 멈출 필요가 있다. 스스로에 대한 애정 및 수용, 정서조절을 위한 좋은 관계 및 관계대상, 자존감을 회복할 필요가 있으며, 자신의 고통스러운 정서를 수용하면서 이에 대해 보다 건강한 대처기제를 마련하고 개발할 필요가 있다.  

자해를 중단해야만 하는 이유를 보다 구체적으로 알고 싶다면, 다음 글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자해를 반드시 중단해야 하는 이유

자해는 고통스러운 감정에서 손쉽게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이다. 그렇기에 자해가 반복되는데, 나아지기 위해서는 자해부터 멈추는 것이 시작일 수 있다. 이번 장에서 자해를 반드시 멈추어야 하

peach-mindspace.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