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자료실

정신화 이론의 배경, 유사 개념들과의 차이점, 정신화 능력의 특징 (feat. 경계선 성격, 정신화 능력과 지능, 공감, 마음읽기)

by mini's peach 2024. 12. 20.
반응형

갑자기 너무 무섭거나 끔찍한 기분이 들었을 때, 정신화 능력이 부족하면 그러한 감정은 당연히 그러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 있기 때문이며 어쩔 도리가 없다. 자신의 마음, 심리적 상태를 살피며, 자신의 감정을 성찰하거나 자신의 마음과 바깥 현실이 자신의 감정에 어떤 식으로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지 잘 이해할 수가 없고, 정서를 조절하기가 어렵다. 안 좋은 경우, 이러한 나쁜 기분으로부터 도망치기 위해 자해를 하거나 때로 자살시도를 하기도 한다. 

 

강렬한 정서, 잦거나 극단적인 기분변화, 불안정감, 내면의 공허함, 자해와 자살시도하면 떠오르는 것이 있다. 바로 경계선 성격이다. 정신화 이론은 이 경계선 성격으로부터 출발한다.

경계선 성격과 정신화 이론의 출발, 이론적 토대  

헝가리 출신으로 영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정신분석가 P. Fonagy는 경계선 성격 치료를 하면서 그들이 보이는 어려움과 독특한 사고방식이 어린 유아의 사고방식과 유사하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면서 유아가 내적인 주관적인 현실과 객관적인 현실을 통합해 가며, 자신과 타인의 심리적인 현상에 대한 이해를 획득하는 과정을 단계로 제시하였는데 이것이 정신화 발달이론과 정신화 발달 단계이다. 경계선 성격의 어려움은 정신화 과정이 애착관계에서 충분히 발달하지 못하고, 특정 시기에 고착되어 유연하고, 통합적인 사고가 어려우며, 타인의 의도나 행동에 대해 부적절하게 추론한다.  

 

 Menalizaion. 정신화는 눈으로 보이지 않는 자신의 마음과 타인의 마음에 대해 생각하는 것, 때로 모호하고, 같은 상황에 있는 두 사람의 마음도 불일치할 수 있는 마음과 같은 심리적인 현상에 대한 이해와 관련된 정신화 이론은 애착과 같은 발달이론과 정신분석을 토대로 하고 있다. 정신화의 뜻과 정신화의 발달 단계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알고 싶다면, 다음을 참고하면 좋겠다.

 

정신화 이론 : 마음의 발달. 우리에게 마음이 있고, 서로의 마음이 같으면서도 또 다를 수 있다는

심리학자 Peter Fonagy가 제안한 정신화란,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소망, 사고, 감정, 신념 등 심리상태로써 인지하고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이다. 즉, 자신의 마음에 대해 알고, 마음의 모호하

peach-mindspace.tistory.com

다른 사람의 마음과 행동을 이해하는 것과 지능. 정신화 능력은 지능과는 다른 문제이다 

 자신과 타인의 마음에 대해 아는 것, 정확히 이해하는 것, 그리고 추론하는 것은 인지적인 면이 있기에 지능의 영향을 받을 것 같지만, 연구 결과를 보면 정신화 능력은 지능과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실제로 평균 이상의 지능을 갖고 있으면서 정신화의 어려움이 있는 아이들을 보면, 이것이 지능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확연히 깨달을 수 있다.

 

 자신의 심리적 세계 혹은 자기 세계에 대한 성찰이 어렵고, 타인의 의도에 대해 매우 부적절한 추론을 하고, 여러 가능성 중 하나의 가정인 자신의 추론이 틀릴 수 있다는 것에 대한 생각을 하고, 이를 수용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어려움을 대게는 대인관계에서 큰 어려움이 생겼을 때 확인하기 때문에 더욱 혼란스러움을 느끼기 쉽다. 정신화는 기본적으로 애착, 애착 관계에서 발달하는 특성으로 인해 타인에 대한 안정된 심상이 부족한 것 또한 사실이다. 고로 정신화 발달의 문제는 내적 안전 기지, 정서조절, 대인관계 어려움과 취약성을 기본적으로 내포하고 있다. 

반응형

유사한 개념들과의 비교, 차이 (공감, 마음이론, 심리적 소양)  

정신화는 자신과 타인의 마음을 아는 것, 객관적인 현상과는 다른 이해가 필요한 심리적인 현상에 대한 이해와 관련되어 있다. 정신화는 자신과 타인의 마음, 인지적이고 정서적인 이해, 암묵적이고, 명시적인 것에 대한 이해가 서로 통합된 것이다.  정신화와 유사한 면이 있는 마음 읽기, 공감, 심리적 소양과 개념과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마음이론다른 사람의 마음과 행동을 해석하는 능력인데, 정신화에 비해 보다 인지적인 면과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의 마음에 초점을 둔다. 

공감은 마음이론의 인지적인 측면보다는 정서에 초점을 두어 정신화와 유사하지만, 정신화에 비해 보다 다른 사람의 감정과 암묵적인 것에 초점을 둔다. 공감능력이 잘 기능하기 위해서는 정신화가 먼저 잘 발달되어야 한다. 

심리적 소양경험의 이유와 의미, 관계에 대한 조망을 포함하고, 내성, 통찰과 유사한 개념이다. 심리적 사고의 측면에서 정신화와 유사하지만, 정신화에 비해  의식적이고 명시적인 부분에 집중하며, 자신의 내부에 더 초점을 둔다. 

반응형